MBTI는 사람의 성격, 성향을 총 16가지로 분류하는 심리검사입니다.
에너지의 방향에 따라서 외향형/ 내향형, 인식 방식에 따라서 감각형/ 직관형, 결정 방식에 따라 사고형/ 감정형, 삶의 패턴에 따라 판단형/ 인식형으로 구분됩니다. 여기까지는 많이들 아시는 내용일 것 같습니다.
[에너지의 방식]
외향형(E) 단체활동 선호. 생각을 표출해서 말하기
내향형(I) 혼자하는 활동 선호. 내면에 담아두고 글쓰기 선호
[인식 방식]
감각형(S) 실용적, 현실적 경험주의자. 숲보다는 나무
직관형(N) 두루뭉술. 미래지향적. 이상주의자. 나무보다는 숲
[결정 방식]
사고형(T) 객관적, 합리적, 논리적. 일의 목표와 효율성 중시
감정형(F) 공감적, 상황적, 포괄적. 대인관계와 사람 중시
[삶의 패턴]
판단형(J) 계획적으로 철저하게 결과의 올바름을 중시
인식형(P) 즉흥적이고 융통성있게. 과정의 올바름을 중시
16가지 성격을 크게 4분류로 나누기도 하는데요.
이 분류중에 어떤 게 좋은건가요? 여쭤보시는 분들도 있는데 어떤 한 가지가 무조건 좋고 그런 것은 없습니다. 개개인의 성격이 어떤게 좋은거고 어떤게 나쁜거고 이런 건 아니잖아요. 각 성격은 모두가 장점이 있고 또 반대로 단점도 있는 거죠.
물론, 직업을 선택함에 있어서 잘 맞을 수 있는 성격은 대체적으로 어떤 것이다. 이런 것은 있을 수 있겠죠. 왜냐하면 각 직업에서 요구하는 성격/ 특성이 어느정도 있을 테니까요. 자, 예를 들어서 분석형인 사람은 어떤 직업이 맞을까요? 영업은 잘 맞을까요? 100% 그렇다는 것은 아니지만 영업에 맞는 성격은 다른 3가지 - 관리자, 탐험가, 외교형이 더 잘 맞을 수 있겠습니다. 분석형의 강점은 '분석'인데 이런 분들은 금융이나 혹은 서류를 분석하는 일들, 그런 일들에서 더 강점을 가질 수 있겠죠.
관리자형: ISTJ-A / ISTJ-T. ISFJ-A/ ISFJ-T, ESTJ-A/ ESTJ-F, ESFJ-A/ ESFJ-T
탐험가형: ISTP-A/ ISTP-T, ISFP-A/ ISFP-T, ESTP-A/ ESTP-T, ESFP-A/ ESFP-T
외교형: INFJ-A/ INFJ-T, INFP-A/ INFP-T, ENFJ-A/ ENFJ-T, ENFP-A/ ENFP-T
분석형: INFJ-A/ INFJ-T, INTP-A/ INFP-T, ENTJ-A/ ENTJ-T, ENTP-A/ ENFP-T
각 유형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다른 블로그에도 잘 설명되어 있는데, 맨 끝에 붙은 A 와 T에 대해서는 설명이 별로 없어서, 뭐지 하고 궁금하신 분들이 꽤 많을 듯 합니다. 모든 유형에 끝에 붙어 있는데 설명이 없으니까요.
A 는 Assertive, T 는 Turbulent 에서 따온 약자입니다.
한국어로는 MBTI의 A 를 확신, T 는 민감 이라고 하네요.
저는 지인들이랑 MBTI 해보고 서로 비교해 봤을 때, 이 A&T 조합이 정말 잘 맞는다고 느꼈습니다. 그럼 이게 어떤 의미인지 살펴보겠습니다.
이 A 와 T 는, 세 번째 항목인 결정 방식과 결부해서 생각하면 이해가 쉽습니다.
위의 내용은 한국 MBTI 카페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.
어느정도 이해가 되셨나요?
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혹시 아직 나의 MBTI 를 안해본 분이라면 아래 링크에서 5-10분 시간내서 해 보셔요 ^^
무료 성격유형검사 | 16Personalities
혹 질문이 마음에 들지 않더라도 정직하게 답변하십시오.
www.16personalities.com
'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구글 검색기록 끄기와 삭제 한큐에 (2020년 업데이트) (0) | 2020.09.28 |
---|---|
입시논술 필수 서울대 추천도서 100선 리스트 (0) | 2020.09.27 |
재택부업 누구나 할 수 있는 방법 (2) | 2020.09.19 |
네이버 플레이스 영수증 리뷰로 1분만에 돈벌기 (0) | 2020.09.18 |
엠브레인 패널파워 단 3분만에 돈벌기 (0) | 2020.09.17 |
댓글